[한국경제혁신센터 정책포럼] 11/5 (금) 거시건전성, 가계 부채 현황과 지속가능성
한국경제혁신센터와 BK사업단이 공동 주최하는 첫번째 정책포럼 개최 안내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참여 시, 학기당 6회 세미나 중 1회로 인정됩니다.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한국경제혁신센터 정책포럼 거시건전성, 가계부채 현황과 지속가능성 주최: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한국경제혁신센터 / 경제학부 BK21 사업단 일시: 2021년 11월 5일 (금) 15:00 – 17:45 장소: 경제학부 세미나실 (사회과학대학 16동 655호) 온라인 zoom 접속 링크: https://snu-ac-kr.zoom.us/j/2454581078 세션 1: 15:00 – 16:15 Lessons from Macro Financial Policy in Korea (신관호, 신현송) 발표: 신관호(고려대) 토론: 안재빈(서울대), 안성배(대외경제정책 […]
게시물 테스트 입니다.
장용성 교수, 제40회 다산경제학자상 수상자로 선정
한국경제신문사는 장용성 교수를 ‘제40회 다산경제학자상’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다산경제학상 심사위원회(위원장 정갑영 연세대 명예특임교수)는 장용성 교수가 경기 변동과 노동·거시경제 정책 관련 논문 20여 편을 세계적 학술지에 발표하는 등 학문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다산경제학상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실사구시(實事求是) 정신을 기리고 경제 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1982년 제정된 상으로 국내 경제학자에게 수여되는 최고 권위의 상이다. 시상식은 지난 […]
서명환 교수, 학술지 Annals of Statistics에 논문 게재
서명환 교수가 세계 최고의 통계학 학술지 중 하나인 Annals of Statistics에 논문 Factor-driven Two-regime regression을 게재하였다. 게재된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계열 실증분석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론인 인자분석법 (factor analysis) 과 임계점에 의한 상태 (regime) 변환 모형 (threshold regression) 의 특성을 결합하여 두 모형의 실증적 적합성을 크게 확장시킨 논문이다. 기존의 상태변환 모형에서 상태의 의미는 거시 […]
타과제 참여 시 서류 제출 안내
훈령 제29조 7항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원생은 매주 40시간 이상의 연구 또는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교육연구단의 장의 허가를 받아 다른 연구에 참여하여 연구비 등을 지원받거나 강의를 할 수 있다. BK과제는 참여율을 계상하지 않음에 따라 참여대학원생은 타과제에 참여할수 있습니다. 단, 타과제 참여시에 반드시 승인 확인서를 구비해야 합니다.(미제출시 장학금 반납을 요청받을 수 있음) ※ BK와 중복지급을 […]
조영준 교수, K학술확산연구소 사업 선정
조영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2021년도 K학술확산연구소 사업에 선정되었다. 이 사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에서 공모한 것으로서, 2021년 7월부터 2026년 6월까지 5년간 해마다 10억원씩 총 5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전례가 없는 대규모의 프로젝트이다. 경제·사회 영역에서는 조영준 교수의 연구팀이 유일하게 선정되었으며, 연구 주제는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이다. 서울대학교 국가지원연구센터의 하나로서 K학술확산연구센터를 신설하여 운영하게 되며,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되, 한국경제사 연구의 최신 성과를 다각적으로 조명할 것이다. 매년 120시간 분량의 동영상 강의를 제작하여 K-MOOC 및 SNUON을 포함한 국내외의 대표적 플랫폼에 탑재하고, 연구서 및 대중서를 비롯한 각종 단행본을 국문 및 영문으로 출판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을 전 세계로 확산할 것이다. 교내의 공동연구원으로는 경제학부의 이철희, 홍석철 교수, 사회학과의 임동균 교수가 참여하였다. 교수 및 연구원뿐 아니라 대학원생이나 학부생도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마련되며, 학제간 교류를 통해 경제·사회·역사·민속·문화 등 여러 분과 학문에 대한 관심의 확장이 이루어질 것이다. 특히 K학술확산연구센터의 운영 및 연구 수행 과정에서 경제학부, 경제연구소, 한국경제혁신센터 등과의 긴밀한 교류와 협조를 통해 우리 학부의 교육 및 연구에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원본링크: https://econ.snu.ac.kr/about/news?bm=v&bbsidx=7304
장용성·박예나 교수, 학술지 Review of Economic Studies에 논문 게재
장용성·박예나 교수가 세계 최고의 경제학 학술지 중 하나인 Review of Economic Studies에 논문 Optimal Taxation with Private Insurance를 게재하였다. 게재된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최적 조세 정책은 기본적으로 효율성–형평성간 상충관계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상충관계를 조세변화(tax perturbation)에 대한 경제 주체의 반응 (예를 들어 노동 탄력성)과 같은 통계량들로 잡아내어 최적조세공식을 충분 통계량의 함수만으로 도출, 분석하는 충분 통계 방법론 (Sufficient Statistic Approach 혹은 Perturbation Approach)은 Saez (2001)의 선구적 연구 이후 괄목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정태적 경제 (static economy) 환경에 국한되어 그 현실적용 범위와 실용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Perturbation Approach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민간 보험 및 저축 시장이 존재하는 경우의 비선형 최적 조세 함수 (Optimal Nonlinear Income Tax Schedule)를 도출한다. (1) 먼저, 민간 저축/보험 시장이 존재하는 경우, 기존 충분통계 방법론을 그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매우 강한 가정들(예를 들어 완전 금융시장이나 완벽히 불완전한 금융시장)이 요구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단순한 정태적 공식에 의존하는 기존의 관행에 주의를 준다. (2) 보다 현실적인 불완전 시장 일반균형모형 (heterogeneous-agents general-equilibrium model)을 이용하여 사회적 후생 (social welfare)을 극대화 하는 최적 조세 공식을 분석하고 또한 조세함수를 정량적으로 계산해 정책 논의에 보다 과학적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 (3) 구체적 사례로 Huggett (1998) 모형과 Kehoe Levine (2002) 형태의 불완전 자본시장 경제에 적용해 보았다. 민간 자본 시장이 존재하는 경우 최적 소득세율은 (민간 자본시장이 없다고 가정하는) 기존 연구에 비해 고소득 계층의 경우 약 8pp 정도 낮은 것으로 계산되었다. * 위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
제2회 대학원생 진로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포럼) 홍보
BK21 대학원혁신사업의 일환으로 BK21 4단계 대학원혁신사업단과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는 제2회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관악교육포럼이 아래와 같이 개최되오니, BK구성원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 시 2021. 5. 28.(금) 15:00~17:00 주 제 새로운 학문생태계 구축을 위한 시론- “학문의 길을 묻다(2): 학문후속세대가 묻고 교수가 답하다” 패 널 구명철 교수(인문대), 김재범 교수(자연대), 박태현 교수(공대), 임도빈 교수(행정대) 사 […]
[2021년 BK4단계 2차년도]국제학술활동 지원 재안내(수정)
4단계 BK21사업 국제학술활동 지원 사업과 관련하여 국제학술회의 참가경비 및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대규모 학술대회 개최경비를 아래와 같이 지원하오니, 참고하여 기간 내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가. 사업 지원 방향 ❍ 2021년 예산액 및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2021년도에 한시적으로 국제학술회의 참가경비 지원대상을 BK21 4단계 BK연구교수 외에 BK21 4단계 연수연구원, 참여대학원생 및 미참여 학과(부) 연구교원, 연수연구원까지 확대하고 지원 […]
서명환 교수, 제51회 매경 이코노미스트상 수상
지난 4월 13일 서명환 교수가 ‘제51회 매경이코노미스트상’을 수상하였다. 매경이코노미스트상은 1971년 처음 제정돼 올해로 51회이다. 이 상은 국내 최고의 경제·경영학자 대상 학술상으로, 학문적 성과뿐만 아니라 현실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친 학자에게 주는 최고 권위의 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서명환 교수는 `HP필터를 통한 코로나19 접촉률 변형 모델에 관한 연구(Sparse HP filter: Finding kinks in the COVID-19 […]